빙산의 일각

인플레이션의 실체는 아직 다 드러나지 않았다. 내 주장은 인플레이션은 시장에서 받아들이는것 보다 훨씬 심각하다는 것이다. 명목적인 수치는 현실에서 일어나고 있는 실제 물가 상승을 반영하지 못하고 왜곡되어 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상대적으로 인플레이션에 대한 공포를 못느끼는 가장 큰 이유는 에너지와 관련된 인플레이션 충격을정부에서 억지로 틀어막고 있기 때문이고, 밸류체인의 어느 구간에서 손실을 오롯이 감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적자를 보는 기업들 덕분에 물가 상승에 대한 충격이 아직 피부에 충분히 와닿지 않고있다는 말이다. 에너지 가격 급등에 따른 손실은 공기업들이 1차적으로 막대한 손실을 보며 한국의 인플레이션율을 온몸으로 방어하고있다. 전력 – 한전에서 엄청난 손실을 보고 있으며 손해를 크게 보며 전기를 팔고있다. 역사상 최악의 적자를 기록하고 발전사로부터 전력을 외상으로 사오는 지경에 이르렀다. LNG – 가스공사도 물가안정을 이유로 정부에서 가격상승분을 판가에 전가 못하도록 막고있으며 국내 판매분에 대한 적자가 가중되고 있다. ‘물가안정’을 이유로 가격 인상을 틀어막는 이 방법은 지속가능하지도 않고 국가와 기업을 병들게 할 뿐이다. 석화산업 – 납사가격이 2배가량 올랐지만 NCC들은 다운스트림에 가격전가를 못하는 상황으로 수익이 악화되고 있다. 석화산업에서 제조산업으로 가격 전이가 이루어 지는 순간 신발, 옷, 산업재, 식품, 각종 약재 등 산업 전반의 수익은 떨어질것이고 결국 소비자에게 가격이 전가되는 사이클이 반복되면 될 수록 물가상승률을 끌어올릴 것이다. 코로나는 공급-수요 균형이 적절히 싸이클을 타며 유지되도록 했던 글로벌 공급망을 고장내버렸다. 팬데믹으로 도시가 봉쇄되자 유가는 마이너스로 갈 만큼 수요가 급감했고 넘쳐나는 공급을 감당하지 못해 돈을 주고 내다 팔거나, 바다위에 저장용도로 쓰기 위한 탱커의 운임이 오르는 기현상까지 발생했다. 이는 역사적인 수요 급감소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사람들이 집 밖으로 나오기 시작하자 수요는 상상 이상으로 회복되었다.  이 역시 역사적인 수요 급등이다. 수요는 견고했으나 생산설비와 운송부분은 전혀 대비되지 못했다. 부랴부랴 설비 재가동에 나서고 증설을 하고 페이를 높여 사람을 구해 공급망 정상화에 나섯지만 정상 궤도로 오기까진 생각보다 훨씬 더 긴 시간이 필요할 것이다. 그 사이 화석연료 제품과 원자재의 재고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공급은 서서히 늘고 있지만 여전히 수요강세로 수급은 타이트하고 마진은 내려올 생각을 안한다. 어느새 원자재는 안보의 개념으로 ‘자국 우선’이 되었다. 식량 부분 인플레이션은 이제 시작인것으로 보인다. 선물 개념으로 사오는 가격이 최종 단계인 소비자에게 전가되기 까지는 시간이 더 걸리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향은 미국에서도 관측된다. 이는 CPI와 CORE CPI의 갭을 보면 추측해볼 수 있다. 3월의 CPI는 전년동월대비 +8.5%이다. 3월의 CORE…

더보기

기업의 지속성장이 가능할까?

기업을 공부하다 보면 처음엔 년 수 백억대 매출, 적자나 소폭 흑자로 시작해서 수 천억 매출, 수 백억 영업이익이나 심지어 조 단위 매출과 천 억 단위 영업어익을 올리는 기업들을 보게 된다.회사의 성장과 함께 시가총액도 기하급수 적으로 늘어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멀티플의 마법 때문이다. 보통은 그러다가 결국 정체기가 온다. 시가총액은 몇년…

더보기

금리 인상과 긴축의 시대, 직전 사례 살펴보기

매도 이후 2년물,3년물 vs 10년물 장단기 금리차 역전 현상도 잠시 있었지만 10년물 수익률(금리)가 치솟으며 장단기 금리 역전 현상은 해소가 되었다. 미 연준의 매파적 발언 이후 10년물 금리는 2017년 이후 고점을 갱신하고 있다. 지난 금리인상 및 긴축 시기 한국의 코스피와 미국의 나스닥, S&P, 다우지수를 살펴보면 확연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이를…

더보기

잠깐 멈춤 (전량 매도)

코스피가 2750선까지 반등했다. 3월 FOMC를 통해 비둘기도 아니고 매도 아닌 파월의 입장을 확인했다.오늘의 분위기는 아주 좋아 보인다.– 전쟁으로 인해 시장에서 예측했던 25bp 금리 인상이 그대로 반영되었고 불확실성이 조금 걷혔다.– 파월의 말 처럼 미국 고용시장이 견고하다는 지표가 나왔다.– 유가도 배럴당 150$까지 갈 것이란 흉흉한 예측까지 나왔지만 진정세를 보이고 있다.– 유럽-러시아간 에너지…

더보기

국내 주식 원탑 형님의 관점(feat. 강방천)

국내 원탑 강방천 형님이 바라보는 앞으로의 주식 시장에 대한 관점 주식 가격의 결정변수는 크게 가치의 힘, 유동성의 힘이 있다. 2008년 이후 13년 동안은 유동성이 이끄는 장이었다. 유동성이 커져도 디플레이션이 유지되는 세상에서 각국 은행들은 앞다투어 돈을 찍어냈고 그 유동성의 힘으로 주식시장은 움직였다. 하지만 이제 그러한 시장에 임계점에 와있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디플레…

더보기

전기차에 대한 관점과 DB하이텍

전기차는 자동차인가 디바이스인가 애플이 아이맥과 아이팟터치를 거쳐 지금의 맥, 아이폰에 이르기까지 성공 신화를 쓸 수 있었던 가장 중요한 요소는 1)감성 그리고 2) iOS 생태계 라고 생각한다.이 두 가지 요소는 IT디바이스가 단순 성능을 떠나 소비자에게 ‘애플’ 이냐 아니냐를 따지게 할 만큼의 충성도를 제공하고 있으며 오랜기간 애플에게 경제적 해자를 제공하고 있다. 그런…

더보기

(note) 코스피 선물 옵션의 이해

콜옵션 매수 : 행사 가격보다 오를것이다.예) 현재 250p / 260p에 콜매수 / 만기결과 270p = (270p에 팔아서) 10p 이득예) 현재 250p / 260p에 콜매수 / 만기결과 250p = (250p에 팔아서) 10p 손해 콜옵션 매도 : 행사 가격 만큼은 오르지 않을 것이다.예) 현재 250p / 260p에 콜매도 / 만기결과 250p =…

더보기

최근 장단기 국채 금리 스프레드 추이 : 0.4%p & 태세전환

[금리 스프레드 축소] 단기채는 은행이 자금을 융통하는 금리와, 장기채는 은행 대출 금리와 관련이 있다. 단기채와 장기채의 스프레드가 벌어지면 은행은 적극적으로 대출을 장려하여 소비와 투자 증가 등으로 이어질 것이다. 그러나 단기채와 장기채 스프레드가 줄어들면 은행은 수수방관 할 것이다. 정부의 대출절벽 정책에도 흔쾌히 응할 정도로 말이다. 은행은 자선단체가 아니기 때문이다. 2019년 7월,…

더보기

물이 빠지면 누가 발가벗고 수영을 했는지 알 수 있다. (Feat NFT 테마주, 금리인상과 기술주vs가치주)

과거 이런 글을 쓴 적이 있다.기대감만으로 오른 주식에 관한 나의 관점이다. 사실 저 글의 내용은 내가 지어내서 한 말이 아니다.나도 피터린치인지 필립피셔인지 누군가의 책에서 본 내용을 각색해서 쓴 글이다.개인적으로 고평가 주식을 꺼려하는 성격 탓에 트레이딩 관점으로 접근하는 경우가 아니면 달리고 있는 말에 탑승을 잘 하지 않는 편이기도 하지만 평소 저런…

더보기